2022. 1. 28. 06:40ㆍ카테고리 없음
◆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안내 ○ ➊예방접종(3차접종) 적극 참여, ➋3밀(밀폐·밀집·밀접) 환경에서 보건용 마스크(KF80·KF94) 착용, 환기(일 3회, 10분 이상)실시, ➌대면접촉 줄이기(사적모임 6인 이내, 다중이용시설 이용시간 짧게, 대화시 마스크 착용) ◆ 코로나19 검사행동수칙 안내 ○ PCR 검사 우선순위 대상자는 증빙자료 지참해 선별진료소에서 PCR검사 ○ 일반인은 선별진료소 신속항원검사(개인용), 지정의료기관 진료·검사 ◆ 사회필수기능 유지를 위한 업무지속계획 수립 당부 ○ 확진자 급증에 대비하여 사회필수기능을 담당하는 각 기관(예시)*은 분야별 업무지속계획(BCP)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당부 * 복지부(의료, 복지, 보육), 경찰·소방청(치안, 소방), 교육부(학교), 과기부(통신·정보) 등 ◆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 현황 ○ (60세 이상 3차접종) 인구대비 85.3%, 1월말 대상자 대비 91.8% 접종 ○ (청소년 접종) 13-18세 1차 80.1%, 2차 73.2%, 접종률 꾸준히 증가 중 ○ 2차접종 후 3개월이 지났다면 반드시 3차접종 참여 당부 |
1. 코로나19 발생 현황 |
□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가 우세화되면서 높은 전파력으로 확진자 발생이 급증하고 있으며, 상당 기간 확진자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.
○ (발생양상) 사회활동이 활발하지만 3차접종률이 낮은 40세 미만(경증, 무증상)에서 다수(최근1주 82%) 발생하고 있다. 반면에 3차접종률이 높은 50대, 60세이상(중중위험 높음)은 발생률이 낮아, 위중증 감소로 이어져 위중증 환자는 350명(1.27 기준)으로 감소하였다.
구 분 | 1.21 | 1.22 | 1.23 | 1.24 | 1.25 | 1.26 | 1.27 | 계 |
계 | 6,769 | 7,009 | 7,630 | 7,513 | 8,571 | 13,012 | 14,518 | 65,022(100%) |
50세이상 | 1,240 | 1,297 | 1,501 | 1,450 | 1,431 | 2,196 | 2,462 | 11,577(18%) |
49세이하 | 5,529 | 5,712 | 6,129 | 6,063 | 7,140 | 10,816 | 12,056 | 53,445(82%) |
< 최근 7일간 전국 연령대별 발생률 추이 관련 그림 붙임 참고>
○ (중증도) 오미크론 유행이 먼저 시작된 광주광역시, 전라남도, 평택시를 중심으로 1월 1주까지 발생한 확진자의 중증도를 분석한 결과, 확진자 발생은 증가세이나 중증화율* 및 치명률**은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.
구 분 | 전국 | 전남 | 광주 | 평택 |
오미크론 검출율(1월2주) | 42.0% | 60.7% | 63.1% | (경기) 23.8% |
중증화율(1월1주,연령표준화) | 1.57% | 0.39% | 0.45% | 1.10% |
치명율(1월1주,연령표준화) | 0.65% | 0.39% | 0.33% | 0.00% |
< 전국 및 전남, 광주, 평택 중증화율 및 치명률(연령표준화)*, ’22.1.22 0시 기준 관련 그림 붙임 참고>
○ (의료대응역량) 최근 들어 위중증 환자가 감소하고, 병상 확충이 진행되면서 의료대응역량은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나, 확진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재택치료 역량을 더욱 높이고, 동네 병의원 중심 검사·진료체계를 확충하고 있다.
* 중환자병상 가동률: (12월1주) 78.3% → (1월3주) 25.9%
*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: (12월1주) 70.2% → (1월3주) 30.0%
* 생활치료센터 가동률: (12월1주) 64.6% → (1월3주) 47.6%
- 먹는 치료제(팍스로비드)는 1월말까지 3만 1천명분*이 도입되어 고위험군(60세이상, 면역저하자)에게 투약되며, 감염병전담병원, 감염병전담요양병원 등으로 공급을 확대하여 발병 후 5일 이내 조기 투약으로 위중증 진행을 방지한다.
* (1.13.목) 2.1만 명분 도입 완료 / (1.30.일) 1만 명분 도입 예정
** (투약현황, 1.27. 0시 기준) 408명
○ (오미크론 유행 대응) 오미크론 변이 유행시기의 방역 목표는 유행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.
목표 | ① 중증환자와 사망 피해 최소화 ② 의료체계의 과부하와 붕괴 방지 ③ 사회경제적 피해 최소화 |
|||
목적 | 추진전략 | 조치사항 | ||
감염 예방 | 백신접종 →감염·위중증 예방 |
▶미접종자 1,2차 접종 (특히 60세이상, 기저질환자) ▶18-59세 신속하게 3차접종 |
||
개인방역수칙 →감염·전파 방지 |
▶보건용 마스크, 환기, 손씻기 ▶대면 접촉 최소화 (사적모임 자제, 비대면 접촉) |
|||
위중증 예방 | 조기진단·조기치료 | ▶60대이상,고위험군 PCR검사, 치료제 투약(발병 5일이내) ▶치료병상·인력으로 중증 치료 ▶고위험군 접촉자 관리 |
||
사회피해 최소화 |
사회필수기능 유지 | ▶국민행동수칙 준수 ▶업무지속계획 시행 |
- 아직까지 겪어보지 못한 오미크론 대유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앙 정부, 지자체, 의료계와 국민이 협력하고 예방접종, 개인 방역수칙, 의료대응, 각 분야별 업무지속계획 등 모든 수단으로 총력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.
- (정부) 안전한 백신 접종, 코로나19 검사체계 전환, 동네 병의원 검사·치료체계 확대, 치료병상·의료인력·치료제 확보
- (의료계) 동네 병의원 검사·치료체계 참여, 안전한 접종 시행, 확진자 조기진단·조기치료(재택치료, 생활치료센터, 전담병원)
- (국민) 오미크론 국민행동수칙 실천, 기관별 업무지속계획 시행
2. 오미크론 유행 대응 행동요령 |
[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안내]
□ 중앙방역대책본부(본부장 정은경 청장)는 설 연휴 기간 고향 방문·여행 등으로 지역 간 이동 및 접촉증가가 예상됨에 따라,
○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유행 통제를 위한 “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”을 발표하고 일상생활에서 준수해주실 것을 당부하였다.
○ 높은 전파력을 가진 오미크론 변이는 단기간 내 대규모 코로나19 유행 촉발로 방역·의료 대응 부담을 늘려 ‘사회적 피해 규모’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어,
- 국민 여러분들께서는 설 연휴 국민행동수칙 준수로 코로나19 유행 억제에 협조해주실 것을 요청했다.
<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> | ||
《감염예방》 | ||
1. | 코로나19 예방접종 3차접종(부스터) 적극 참여하기 | |
▶3차접종(부스터)받기, 미접종자는 신속히 1차·2차 접종받기 | ||
2. | 3밀(밀폐·밀집·밀접)환경에서 보건용 마스크(KF80, KF94) 쓰기 | |
▶밀폐·밀집·밀접환경, 감염취약시설 방문 시 KF80, KF94 마스크 권장 | ||
▶예방접종을 받았어도 마스크 착용하기 | ||
▶하루 3번, 10분이상 문과 창문을 열어 환기하기 | ||
3. | 대면 접촉 줄이기 | |
▶사적모임은 6인 이내, ▶다중이용시설 이용은 짧게, ▶대화할 때는 마스크 착용 | ||
《조기진단·조기치료》 | ||
4. | (60세 이상, 고위험군) 유증상 시 신속하게 PCR 검사받고, 치료받기 | |
▶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, 확진 시 먹는 치료제 등 조기 치료 | ||
5. | (일반) 유증상 시 신속항원검사받고, 치료받기 | |
▶가정·지정의료기관·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(양성→PCR), 확진 시 재택치료 |
① (코로나19 예방접종 참여)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오미크론 변이에도 코로나19로부터 나 스스로와 주변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으로,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을 억제하고, 높은 수준으로 중증·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.
- 국내 조사 결과, 3차 접종 후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중화항체가 접종 전 대비 10.5~113.2배 증가하였으며,
- 영국 조사 결과, mRNA 백신으로 3차 접종 후,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입원 예방효과가 4~6개월까지 80~85% 유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.
* COVID-19 vaccine surveillance report week 3, 2022.01.20.
- 이에, 기초접종(1차·2차)을 완료한 18세 이상 성인은 2차접종 90일 후 3차접종을 반드시 완료하고, 아직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다면 신속히 1차접종 받아 오미크론 변이에 대비하는 한편,
- 접종완료자*의 코로나19 확진·밀접접촉 시 격리기준이 오미크론 변이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일부 완화**됨에 따라, 완화된 격리기준이 적용되어 일상생활의 불편이 작도록 접종을 완료해주시길 바란다고 하였다.
* (예방접종완료자) 2차접종 후 14일 경과 및 90일 이하자, 3차접종자
** (예방접종완료자) 확진 시 7일 격리, 밀접접촉 시 수동감시(격리없이 검사)(미접종자) 확진 시 10일 격리, 밀접접촉 시 7일 격리
② (올바른 마스크 착용) 실내 또는 집회·행사 등 다중이 모이거나 2m(최소 1m) 이상 거리두기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반드시 입과 코를 가리고 얼굴에 밀착하여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.
<상황별 권고 마스크> | |||||
상황 | 보건용 마스크 | 수술용 마스크 | 비말차단용 마스크 | ||
KF 94 | KF 80 | ||||
의료 관련 상황 |
·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경우 | 필수 | - | - | - |
·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· 건강취약계층, 기저질환자* |
(우선) 권장 | 사용 가능 | |||
생활 방역 상황 |
· 3밀시설(밀폐·밀집·밀접) 또는 감염취약시설(요양병원 등) 방문 |
(우선) 권장 | 사용 가능 | ||
· 타인 접촉이 잦은 직업군 · 실내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· 실외에서 2m(최소1m) 거리 유지가 어려운 경우 |
권장 | ||||
* 심혈관질환, 당뇨, 만성 폐질환, 암, 뇌혈관질환, 면역저하, 비만, 천식 등 |
-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 차단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타인과 접촉 시, 보건용 마스크(KF80·94), 수술용·비말 차단용 마스크 착용이 권고되며, 천·면 마스크 착용은 권고되지 않는다.
* (코로나19 감염위험) 감염자·비감염자 마스크 미착용→ 90%, FFP2 마스크(국내 KF94 유사) 착용→ 0.4% (Bagheri et al. (2021), PNAS)
- 더불어, ❶기저질환자* 등 코로나19 고위험군 또는 ❷3밀 시설(밀폐·밀집·밀접), ❸감염취약시설**을 방문하는 경우에는, 비말 차단율이 높은 KF94 또는 KF80 마스크 착용을 우선 권장한다고 하였다.
* 심혈관질환, 당뇨, 만성 폐질환, 암, 뇌혈관질환, 면역저하, 비만, 천식 등
** 코로나19 고위험군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(예. 요양병원·시설, 노인복지시설 등)
③ (대면 접촉 줄이기) 코로나19 확산이 쉬운 3밀(밀접·밀폐·밀집)시설 이용을 자제하고, 사적모임 시 인원제한 범위(수도권·비수도권 6인) 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만날 것을 당부하였다.
- 지역 간 이동이 증가하는 설 연휴에도 고향방문·여행 대신 집에 머물며, 비대면 세배로 60세 이상 어르신과의 접촉을 줄이고,
- 고향 방문 시에도, ❶머무는 시간은 짧게, ❷손 씻기·환기 등 방역수칙은 철저히, ❸식사 등 마스크를 벗는 행위는 최소화할 것을 요청했다.
- 또한, 겨울철 난방기 사용 시에도 가능한 자주(하루에 3번, 10분 이상) 문과 창문을 열고 외부공기로 환기하여, 실내 시설의 코로나19 감염위험을 낮춰야 한다.
* 환기 미실시 시, 환기를 실시했을 때보다 코로나19 공기감염위험도가 (1시간 체류)1.9배, (2시간 체류)2.6배, (6시간 체류)6.8배 높음(질병청, KICT 연구결과)
④ (유증상시 검사받기) 코로나19 고위험군은 몸이 안 좋은 경우, 반드시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고 외출을 자제할 것을 강조하였다.
- 60세 이상 고령층·감염취약시설 종사자는 선별진료소에서 PCR검사를 실시하여, 확진 시에 신속하게 먹는 치료제 등 조기치료를 받아 위중증을 예방하는 한편,
- 60세 미만은 가정·지정의료기관·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하여, 검사결과 양성인 경우 바로 PCR검사를 받고, 검사결과 확인 전까지 외출하지 않아야 한다.
[코로나19 검사행동수칙]
□ 코로나19 검사는 고위험군 대상으로 감염을 신속하게 진단하여 조기치료하는데 집중하는 체계로 전환된다.
○ 지난 26일부터 오미크론 우세지역인 안성, 평택, 광주, 전남에 대해 변화된 검사체계를 우선 적용했으며,
○ 1월 29일부터는 개편된 검사체계가 전국 선별진료소(256개소)로 확대 적용되며, 2월 3일부터는 임시선별검사소(204개소)를 포함하여 전국 모든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까지 전면 확대 시행하게 된다.
○ 다만, 변화된 검사체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1월 29일부터 2월 2일까지는 전환 기간으로 현장 상황에 따라 변화된 검사체계를 유연하게 적용할 계획이다.
□ 변화된 검사체계에 따라 우선순위 PCR 검사 대상인 만 60세 이상 고령자, 감염취약시설 종사자, 밀접접촉자 등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사람 등은 신분증, 재직증명서, 검사대상 지정 문자 등 우선순위 대상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를 지참하여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.
○ (만 60세 이상) 증상여부 등 관계없이 검사를 원하는 경우 신분증을 지참하여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.
○ (밀접접촉자, 수동감시자, 해외입국자 등) 방역관리를 위한 검사 대상자는 격리통지서, 검사 안내 문자 등을 통해 검사 대상자임을 확인 후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.
○ (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 대상자) 요양병원·시설, 정신병원, 양로시설 등 고위험시설 근무자, 휴가 복귀 군인, 병원 입원 전 환자 등이 포함되며, 재직증명서, 보호명령서, 휴가증, 입원 관련 증빙서류 등 증빙자료를 지참하여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받을 수 있다.
우선순위 검사 대상 | 증빙자료 예시 | |
만 60세 이상 고령자 | 만 60세 이상 고령자 |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(주민등록상 출생연도 기준) |
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는 자 |
의료기관 내 의사 소견에 따라 코로나19 검사가 필요한 자 | 의사의 소견서, 병원의 경과기록지 등 |
역학적 연관성이 있는자 | 밀접접촉자(확진자와 접촉한 자) | 검사 대상 지정 문자 등(밀접접촉자 통보 문자) |
격리 해제 전 검사자(수동감시자 포함) | 격리통지서, 밀접접촉자 통보 문자, 격리통보 문자 | |
해외입국자(해외에서 국내로 입국한 자) | 해외 입국 후 검사 관련 안내 문자, 격리통지서, 격리면제서 등 해외 입국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| |
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 | 요양병원 등 고위험시설* 종사자 | 재직증명서, 사원증 등 |
외국인보호시설‧소년보호기관‧교정시설 입소자 | 보호명령서, 입원(소년원, 소년분류심사원) 통지서 또는 안내문(통보 문자) | |
휴가 복귀 장병 | 휴가증 | |
의료기관 입원 전 환자 | 입원 관련 증빙서류 | |
신속항원·응급선별 검사 양성자 | 신속항원검사(전문가용, 개인용) 양성자, 의료기관 응급선별검사 양성자 | 의사의 소견서(신속항원검사 양성 포함), 양성이 확인된 제품(밀봉하여 제출) 등 |
* 요양병원, 요양시설, 정신병원, 정신요양시설, 정신재활시설, 양로시설, 노인복지시설, 한방병원, 재활병원(기존 선제검사 대상 기관에 한함)
□ 기침, 발열, 인후통 등 증상이 있는 경우, 호흡기클리닉 등 지정의료기관에서 진료와 함께 신속항원검사(전문가용)를 받으실 수 있다.(진찰료 본인부담, 검사비 무료)
○ 신속항원검사(전문가용) 양성이거나 코로나19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이 있는 경우 소견서 등을 지참해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.
□ 이 외에도 검사를 희망하는 경우 이달 29일부터는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신속항원검사(개인용)를 할 수 있고, 2월 3일부터는 임시선별검사소에서도 신속항원검사(개인용)를 받을 수 있다.
○ 선별진료소에서 받은 검사키트는 선별진료소에 마련된 검사장소에서 검사하셔도 되며, 자택 등으로 이동하여 검사하실 수도 있다.
□ 1월 29일부터는 선별진료소에서 실시한 신속항원검사(개인용) 결과도 방역패스로 활용 가능하다.
* 안성, 평택, 광주, 전남 지역은 26일부터 가능
○ 다만 방역패스 목적의 음성확인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자택이 아닌 선별진료소에서 검사해야 한다.
<오미크론 검사체계 그림 붙임 참고>
[사회필수기능 유지를 위한 업무지속계획 수립 당부]
□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확진자‧접촉자 급증으로 인한 격리자 증가로 사회필수기능 유지 지장 초래에 대비하기 위해 분야별 업무지속계획(BCP, Business Continuity Plan)을 마련할 것을 당부하였다.
○ 격리자 증가로 의료‧치안‧소방‧교통‧통신‧교육 등 필수 공공업무 중단 시 사회‧경제에 막대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어,
- 위기 상황 시 기존 운영 방식을 핵심 기능 중심으로 재편하여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하였다.
○ 질병관리청은 부처‧기관별 핵심 업무 지속을 위한 계획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업무지속계획 작성 가이드라인을 기 배포하였다(1.18.).
- 업무지속계획에는 필수기능별 핵심업무‧우선순위 정의 및 BCP 관리팀 지정과 종사자 3차 접종 제고, 자체 신속항원 검사 계획 등 방역 대책, 비상시 인력동원 방안 등을 포함할 것을 권고하였다.
<오미크론 대응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> | ||
▶ 감염병 확산시에도 반드시 유지해야 할 핵심업무 선정 | ||
▶ 핵심업무 지속을 위한 인력(대체인력 투입 등)과 자원 운용(필수자원 및 현재 비축량 파악 등) 계획 마련 | ||
▶ 핵심업무 담당자 결근(확진/격리) 대비하여 대체근무자 지정 및 우선순위 낮은 업무 축소 등 업무 조정 계획 마련 | ||
▶ 비상시 체계적인 대응 및 의사결정을 위한 비상조직 체계 구성 및 팀별 · 개인별 역할 규정 | ||
▶ 추가적인 인력 손실을 최소화기 위한 기관내 확산 방지 조치 사항 등 마련 |
□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확진자‧접촉자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바, 아직 업무지속계획을 마련하지 않은 기관은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조속히 마련될 수 있도록 하고,
< 부처별 사회필수기능 분야 >
구분 | 내용 | 구분 | 내용 |
복지부 | 의료, 복지, 보육 | 금융위 | 은행‧금융 |
국토부 | 교통‧철도‧항공‧물류 | 국방부 | 국방(군인) |
산업부 | 에너지‧산업 | 행안부 | 재난관리 |
과기부 | 통신‧정보 | 고용부 | 근로자 |
경찰청 | 치안 | 교육부 | 교육(초‧중‧고, 대학교) |
소방청 | 소방 | 환경부 | 화학‧위험물질 |
식약처 | 식품‧약품 | 농림부 | 농업 |
○ 특히, 의료진 확진 및 격리자 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의료기관별로 비상시 필수 진료 기능 유지를 위한 BCP 신속 수립을 당부하였다.
3.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 현황 |
□ (개요) 1월 27일 0시 기준으로 4,460만 명(인구 대비 86.9%)이 1차접종을 받았고, 4,390만 명(인구 대비 85.6%)이 2차접종(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)을 완료하였다.
* (18세 이상 인구 대비) 1차접종률 96.6%, 2차접종률 95.4%
○ 3차접종은 총 2,604만 명이 받아, 전체 인구 대비 50.7%, 60세 이상 인구 대비 85.3%가 3차까지 접종을 완료하였다.
【연령별 접종 현황(1.27. 0시 기준)】 (단위 : 명, %) |
||||||||||
구분 | 인구* (A) |
접종자 현황 | 접종률 | |||||||
1차(B) | 2차(C) | 3차 (D) | 1차 (B/A) |
2차 (C/A) |
3차 | |||||
대상자** 대비 | 인구대비 (D/A) |
|||||||||
계 | 51,317,389 | 44,605,045 | 43,904,632 | 26,043,358 | 86.9 | 85.6 | 67.0 | 50.7 | ||
연령 | 80세 이상 | 2,455,738 | 2,227,455 | 2,201,977 | 2,014,156 | 90.7 | 89.7 | 94.1 | 82.0 | |
70-79세 | 3,883,747 | 3,739,401 | 3,717,027 | 3,457,883 | 96.3 | 95.7 | 94.8 | 89.0 | ||
60-69세 | 7,404,447 | 7,228,835 | 7,180,169 | 6,246,852 | 97.6 | 97.0 | 89.5 | 84.4 | ||
50-59세 | 8,574,374 | 8,403,933 | 8,334,022 | 5,671,483 | 98.0 | 97.2 | 71.2 | 66.1 | ||
40-49세 | 8,035,809 | 7,678,617 | 7,580,415 | 3,540,139 | 95.6 | 94.3 | 51.1 | 44.1 | ||
30-39세 | 6,591,585 | 6,315,779 | 6,178,885 | 2,512,047 | 95.8 | 93.7 | 46.9 | 38.1 | ||
20-29세 | 6,404,726 | 6,313,940 | 6,212,075 | 2,285,191 | 98.6 | 97.0 | 42.8 | 35.7 | ||
12-19세 | 3,732,656 | 2,697,085 | 2,500,062 | 315,607 | 72.3 | 67.0 | 65.7 | 8.5 | ||
(18-19세) | (963,728) | (908,283) | (889,098) | (315,607) | (94.2) | (92.3) | (66.3) | (32.7) | ||
(12-17세) | (2,768,928) | (1,788,802) | (1,610,964) | (-) | (64.6) | (58.2) | (-) | (-) | ||
11세 이하 | 4,234,307 | |||||||||
* ’21.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(거주자) 기준(거주불명자, 재외국민 제외) ** ‘22.1.31일 기준 연령대별 접종간격 도래자 ***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본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‘2차 접종’ 합계에도 추가,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※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|
□ (3차접종) 1월 말을 기준으로 접종간격 도래자(3,884만 명) 대비 3차접종률은 67.0%로, 연령별로는 70대가 94.8%로 가장 높았으며, 80대 이상이 94.1%, 60대 89.5%, 50대 71.2%, 18-19세 65.7% 순이었다.
○ (18-59세 연령층) 현재 18~59세 청장년층 및 중년층을 중심으로 접종이 시행되고 있다. 1월말 기준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최근 1주간(1.20.~1.26.) 5.4%p(49.5% → 54.9%) 상승하였으며, 40대 연령층의 접종률 상승폭이 6.6%p(44.5% → 51.1%)로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.
- 예약자까지 포함할 경우 인구 대비 54.5%, 1월말 3개월 도래자 대비 63.9%로, 접종률 상승폭이 두드러지지는 않으나 지속적으로 꾸준히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다.
○ (60세 이상 연령층)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, 사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연령층도 12월 집중접종기간 운영 등에 힘입어 1월말 기준 접종간격 도래자 대비 90% 이상의 높은 접종률을 기록하고 있으며, 현재도 접종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.
- 이에 따라, 확진자 중 고령층의 비중이 낮게 유지되고 있고, 1월 3주 들어 10% 미만으로 떨어졌으며,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으로 확진자가 증가하는 상황에도 위중증 환자수 역시 감소하고 있다.
* 확진자 중 60세 이상 연령층 비중(명, %): (12.5주) 6,831(21.0) → (1.1주) 4,075(16.6) → (1.2주) 3,124(12.6) → (1.3주) 3,424(9.5)
【주차별 3차접종 인구 및 대상자 대비 접종률(1.27. 0시 기준) 그림 붙임 참고】
□ (13-18세 접종) 13~18세(’21년 기준 12~17세) 청소년은 현재까지 221만 명이 1차접종을 받아 접종률이 80%를 넘었다. 2차접종률은 73.2%로 꾸준히 접종받고 있다.
○ 16~18세의 1차접종률은 88.7%, 2차접종률은 84.0%로 높게 나타났다. 13~15세의 경우 1차접종률 71.9%, 2차접종률 62.8%로 16~18세에 비해서는 낮으나, 2차접종률 또한 60%를 넘어 접종률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.
【청소년 주차별 예약률 및 1차·2차접종률 그림 붙임 참고】
□ (미접종자 접종) 18세 이상의 1차접종률은 96.6%, 2차접종률은 95.4%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, 아직까지 접종에 참여하지 않으신 미접종자의 접종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.
○ 18세 이상 대상자 중 1월 2주에는 약 8만 명, 1월 3주에는 약 5만 명이 1차접종에 참여하였고, 1월 2주 약 27만 명, 1월 3주 약 15만 명이 2차접종을 완료하였다.
* 1차접종자수: (12.5주) 141,755명 → (1.1주) 101,942명 → (1.2주) 75,562명 → (1.3주) 45,588명
2차접종자수: (12.5주) 167,429명 → (1.1주) 276,590명 → (1.2주) 267,199명 → (1.3주) 152,898명
4.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 결과(47주차) |
□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(47주차, 1.23. 0시 기준) 분석결과를 발표했다.
○ 전체 예방접종 112,267,383건 중 이상반응은 440,623건(47주 신규 신고 6,709건)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.39%(1차 0.53%, 2차 0.40%, 3차 0.14%)으로, 3차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(접종일 기준)은 1차와 2차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.
* 이상반응 신고통계는 출생연도 기준 예방접종 건수를 기반으로 산출(인구집단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예방접종현황의 예방접종 건수와 다름)
- 신고 사례 중 일반 이상반응은 96.2%(424,053건), 중대한 이상반응은 3.8%(16,570건)이었으며,
* 일반이상반응은 주사부위의 통증, 발적 등 국소이상반응과 발열, 근육통 등 전신이상반응
* 중대한 이상반응은 중증, 사망, 아나필락시스 및 주요 이상반응
-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.53%(1차 0.75%, 2차 0.27%), 화이자 백신 0.32%(1차 0.41%, 2차 0.35%, 3차 0.14%), 모더나 백신 0.47%(1차 0.62%, 2차 0.76%, 3차 0.14%), 얀센 백신 0.57%(1차 0.58%, 2차(부스터) 0.19%)로, 백신별 3차 접종이 1차와 2차 접종보다 낮았다.
- 18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, 예방접종 5,362,137건 중 이상반응은 16,586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.31%(일반 이상반응 97.3%, 중대한 이상반응 2.7%)이었다.
□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.
○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후 15~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,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,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,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.
- 특히, 중증 알레르기 반응(아나필락시스)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.
○ 화이자,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/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.
【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】 ◈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, 압박감,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,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|
○ 아울러,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,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·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.
5.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(~1.21.) |
□ 예방접종피해조사반(반장 서은숙 교수)은 현재까지 총 47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평가하였다.
○ 평가 상정된 총 4,874건(사망 1,297건, 중증 1,492건, 아나필락시스 2,085건) 중 768건(사망 2건, 중증 5건, 아나필락시스 761건)이 인과성 인정되었고, 85건(사망 13건, 중증 72건)이 근거 불충분한 사례*로 평가되었다.
*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는 3천만 원 이내의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, 근거가 확보되면 재평가할 예정임
○ 제 47차 회의(1.21일)에서 신규 153건(사망 47건, 중증 32건, 아나필락시스 74건) 및 재심 1건(중증 1건) 심의하였고, 이중 아나필락시스 24건이 인과성 인정되었으며, 사망 2건(급성심근염/급성심근경색 1건, 급성심근염 1건) 및 중증 3건(급성심근염 3건)은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하였다.
[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평가결과(1.21.기준) ] (단위 : 건)
구분* | 누적사례 | 인과성 평가 결과 | |||
인정 | 불충분 | 불인정 | 보류 | ||
합계 | 4,874(153) | 768(24) | 85(5) | 4,007(122) | 14(2) |
사망 | 1,297(47) | 21) | 13(2) | 1,271(44) | 11(1) |
중증 | 1,492(32) | 52) | 72(3) | 1,412(28) | 3(1) |
아나필락시스3) | 2,085(74) | 761(24) | 0 | 1,324(50) | 0 |
*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누적사례의 ( )은 47차 회의의 신규사례, 그 외( )은 47차 회의 평가 결과 1)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례(아스트라제네카), 급성심근염 1례(화이자) 2)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례(아스트라제네카), 뇌정맥동혈전증 1례(아스트라제네카),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례(아스트라제네카), 급성심낭염 1례(화이자) 3)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中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건(인과성 인정 11건·불인정 3건) |
<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백신종류별 인정사례 (7건)>
접종백신 | 추정진단(사인) | |
아스트라제네카 | 사망 | 혈소판감소성 혈전증⑴ |
중증 |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⑵, 뇌정맥동혈전증⑴,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⑴ |
|
화이자 | 사망 | 급성심근염⑴ |
중증 | 급성심낭염⑴ |
<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백신종류별 근거 불충분 사례 (85건)>
접종백신 | 추정진단(사인) | |
아스트라제네카 | 사망 | 급성심근염⑴, 길랭-바레증후군⑴, 모세혈관누출증후군⑴ |
중증 | 길랭-바레증후군⒅, 면역성혈소판감소증⑺, 급성파종성뇌척수염⑴, 전신염증증후군⑴, 염증성근육병증⑴, 천식발작⑴, 폐색전증⑴, |
|
화이자 | 사망 | 급성심근염⑷, 급성심근심낭염⑴ |
중증 | 급성심근염(25)*, 급성심근심낭염⑶, 급성심낭염⑵, 척수염⑴ | |
얀센 | 사망 | 모세혈관누출증후군⑴ |
중증 | 길랭-바레증후군⑵ | |
모더나 | 사망 | 급성심근염⑶, 급성심근염/급성심근경색(1) |
중증 | 급성심근염(5), 급성심근심낭염⑷ |
* 1건은 교차접종(1차 접종 : 아스트라제네카 백신- 2차 접종: 화이자백신)
□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47차 회의(1.21.)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,
○ 신규 사망 신고사례 47건의 평균 연령은 68.7세(범위 23~92세)였고, 이 중 42례(89.4%)에서 기저질환*이 있었으며,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(9건), 화이자(18건), 아스트라제네카-화이자 교차접종(8건), 모더나(6건), 얀센-화이자 교차접종(1건), 아스트라제네카-모더나 교차접종(5건)이었다.
* 고혈압, 당뇨, 고지혈증, 뇌혈관질환 등
○ 신규 중증 신고사례 32례의 평균 연령은 58.1세(범위 17~87세)였고, 이 중 20례(62.5%)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, 접종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10일(범위: 0.1∼44.4일),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(1건), 화이자(19건), 아스트라제네카-화이자 교차접종(2건), 모더나(5건), 아스트라제네카-모더나 교차접종(5건)이었다.
6. 2022년 제2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|
□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(위원장: 서은숙)는 1월 25일 제2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(이하 “보상위원회”)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사례 총 1,882건을 심의하였다.
* 임상의사, 법의학자, 감염병·면역학·미생물학 전문가, 변호사 및 시민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
○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·가족력, 접종 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한 결과,
- 예방접종 후 발열, 두통, 근육통, 어지럼증, 알레르기 반응 등의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받은 사례 등 총 661건(35.1%)에 대해 보상 결정하였다.
【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】
▵ (사례1) 예방접종과 이상반응이 발생한 시기가 일반적인 이상반응 양상과 다름(8일 이상 지속된 두통, 접종 약 17일 후 우측 하지 무력감) ▵ (사례2) 백신보다는 기저 질환과 전신상태(고혈당, 저나트륨혈증, 뇌출혈, 허혈성 심장질환 등)로 인하여 발생한 증상 ▵ (사례3) 폐렴, 소장결장염, 요로감염등 다른 원인에 의한 발생 가능성이 높음 |
○ 2022년 제2차 보상위원회까지 총 18차에 걸쳐 누계 심의한 건수는 11,719건으로 이 중 보상 결정 건은 4,502건(38.4%)이다.
【2022년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】
구분 | 심의건수1) | 보상위원회 심의결과 | 보상구분2) | ||||||
보상 | 기각 | 보류 | 계 | 진료비 및 간병비 | 장애인 일시보상금 |
사망일시보상금 및 장제비 | |||
누계 | 차수 | 11,719 | 4,502 | 7,216 | 1 | 4,502 | 4,501 | - | 1 |
1월 | 제2차 | 1,882 | 661 | 1,220 | 1 | 661 | 661 | - | - |
1월 | 제1차 | 1,163 | 403 | 757 | 3 | 403 | 403 | - | - |
’21년 누계 | 제1~16차 | 8,679 | 3,438 | 5,239 | 2 | 3,438 | 3,437 | - | 1 |
1) 본인부담금 30만원 이상의 신청 사례 2,327건, 30만원 미만의 신청 사례 9,392건(보류건 포함)
2) 「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보상의 종류로 구분
□ 아울러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중증 또는 특별 관심 이상반응(경증포함) 발생으로 치료하거나 사망한 경우 중 근거자료가 불충분하여 백신과의 인과관계가 인정되기 어려운 환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 또는 사망자에 대한 위로금을 지급하는 사업을 시행 중이다.
〈 인과성 불충분 지원사업 〉 △ (지원대상)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중증** 또는 특별 관심 이상반응***(경증 포함)이 발생하고,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평가 또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결과 인과성 근거 불충분(심의기준 ④-1* 해당)의 결과를 받은 경우 * ④-1 판정기준 :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이 접종 전에 이를 유발할 만한 기저질환, 유전질환 등이 불명확하고, 이상반응을 유발한 소요시간이 개연성은 있으나, 백신과 이상반응 인과성 인정 관련 문헌이 거의 없는 경우 ** 중증 이상반응 : 사망, 중환자실 치료 또는 이에 준하는 치료, 장애 등 발생 경우 *** 특별 관심 이상반응(Adverse Event of Special Interest), :WHO가 적극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이상반응, 심근염·심낭염, 길랭-바레증후군, 다형홍반 등 포함 △ (지원범위) 사망자위로금 5천만원, 의료비(진료비 및 간병비) 3천만원 한도* *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*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|
○ 현재까지 의료비 지원대상은 1.13. 이후 전문가 자문단 검토를 통해 심근염·심낭염 등 경증 환자 77명, 같은 기간 중증은 6명이 추가되어 중증 88명, 경증 377명 총 465명이며,
- ’21년 사망자를 포함한 사망자 위로금의 대상자는 13명으로 대상자들에 대한 의료비 및 사망자 위로금 지원이 진행 중이다.
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,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.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*(국내/해외발생/사망/성별/연령별/시도별 구분)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-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,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**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(매일 10시 업데이트). *(일일 확진자 통계)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-19 누리집(ncov.mohw.go.kr) 메인화면 좌측 ▶ ‘일일확진자’ ▶ 다운로드(화살표선택) ▶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**(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) 발생동향 ▶ 시도별 발생동향 ▶ 시도 선택 ▶ (우측 하단)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|
자료담당 | 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조정팀 |
팀 장 | 정통령 | 연락처 | 044-719-9050 |
담 당 | 김영미 | 044-719-9374 | |||
중앙방역대책본부 일상방역관리팀 | 팀 장 | 김유미 | 043-719-7310 | ||
담 당 | 김우정 | 043-719-9064 | |||
중앙방역대책본부 정보분석팀 | 팀 장 | 권동혁 | 043-719-7730 | ||
담 당 | 신은정 | 043-719-7731 | |||
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총괄팀 | 팀 장 | 김갑정 | 043-719-7840 | ||
담 당 | 박재선 | 043-719-7849 | |||
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기획팀 |
팀 장 | 황경원 | 043-913-2310 | ||
담 당 | 전채민 | 043-913-2309 | |||
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 이상반응관리팀 |
팀 장 | 이연경 | 043-913-2260 | ||
담 당 | 조훈 | 043-913-227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