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. 1. 27. 12:39ㆍ카테고리 없음
2022년 1월 손실보상금 3,479억 원 지급
오미크론 유행은 확진자수 보다는 중증환자, 사망자, 의료체계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필요
오미크론 유행에 대응한 방역‧의료체계 전환은 차근차근 진행 중
- ’22년도 코로나19 치료의료기관 병상단가 등 손실보상 기준 개정 -
- 델타유행 시기(’21.12월 초)와 비교시 ① 60세 이상 확진자는 절반 이하, ② 위중증 환자는 절반 이하 수준, ③ 입원대기도 없으며 사망자도 1/2~1/3 수준 -
- - 병상가동률도 중환자 17.8%, 감염병 전담 36.2% 이며, 병상수도 델타유행 시기에 비해 2배 이상 확충 -
- 3차 백신 예방접종 주력, 무증상·경증 환자 급증 대비 재택치료 확대, 먹는치료제 도입·처방대상 확대, 확진자 치료격리기간 7일로 단축 등 -
□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-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(본부장: 국무총리 김부겸)는 오늘 본부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, 17개 광역자치단체, 18개 시․도 경찰청과 함께 ▲설 연휴 특별교통대책* ▲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.
* 국토부 별도 보도참고자료 배포(1.26.)
1. ’22년 1월 손실보상금 지급 및 ’22년도 손실보상 기준 개정
□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(본부장: 권덕철 장관)는 손실보상심의위원회 심의·의결(1.24.)에 따라 1월 27일(목)에 총 3,479억 원의 손실보상금을 지급한다.
*「감염병예방법」 제70조에 따른 손실보상 사항을 심의·의결하기 위해 민관 공동위원장, 이해관계자, 법률·손해사정·의학 전문가 등 포함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
○ 중앙사고수습본부는 감염병전담병원 등 코로나19 환자 치료의료기관의 신속한 손실보상을 위해 작년 4월부터 매월 개산급* 형태로 손실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.
* 손실이 최종 확정되기 전에 잠정적으로 산정한 손실액을 일부 지급하는 것
- 이번 개산급(22차)은 297개 의료기관에 총 3,393억 원을 지급하며, 이 중 3,353억 원은 감염병전담병원 등 치료의료기관(260개소)에, 40억 원은 선별진료소 운영병원(37개소)에 각각 지급한다.
- 치료의료기관(260개소) 개산급 3,353억 원 중 치료병상 확보에 따른 보상이 3,312억 원(98.8%)이며, 코로나19 환자 치료로 인한 일반 환자 진료비 감소 보상은 41억 원(1.2%) 등이다.
* (1∼21차 누적 지급액) 415개소, 3조 6,728억 원
< 대상기관별 22차 개산급 지급 현황> (단위: 개소, 억원) |
||||||||
구분 | 총계 | 치료의료기관 | 선별 진료소 |
|||||
소계 | 감염병 전담병원 | 거점 전담병원 |
국가지정 입원치료 |
중증환자 전담치료 |
기타치료 의료 |
|||
개소수 | 297 | 260 | 183 | 27 | 34 | 82 | 5 | 37 |
지급액 | 3,393 | 3,353 | 1,740 | 751 | 832 | 1,956 | 13 | 40 |
※ 치료의료기관 수는 각 유형별 중복 숫자 제외, 지급액은 유형별 전액 표시
※ 생활치료센터 협력병원은 모두 치료의료기관 및 선별진료소 운영병원에 포함
○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정부나 지자체의 폐쇄·업무정지·소독 명령을 이행한 의료기관, 약국, 일반영업장 등*에 대해서도 작년 8월부터 매월 손실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.
- 폐쇄·업무정지·소독 명령 이행 관련 ’22년 1차 손실보상금은 의료기관(319개소), 약국(113개소), 일반영업장(3,015개소), 사회복지시설(7개소) 등 3,454개 기관에 총 85억 원이 지급된다.
* (’20년 1∼5차, ’21년 1∼11차 누적 지급) 53,627개소, 1,695억 원
- 특히 일반영업장 3,015개소 중 2,126개소(약 70.5%)에는 신청 절차 및 서류가 간소화된 간이절차*를 통하여 각 10만 원(총 3억 원, 소독비용 포함)을 지급한다.
* 폐쇄·업무정지·소독 명령을 받은 일반영업장이 매출증빙 등 별도 손실액 입증자료 제출 없이 직접 소독비용 외 영업손실액 정액(10만 원) 지급을 신청하는 절차
< 대상기관별 2022.1차 손실보상금 지급 현황 > (단위: 개소, 백만원) |
|||||||||||||||||||
구 분 | 합계 | 의료기관 | 약국 | 일반영업장 | 사회복지 시설 |
||||||||||||||
일반 | 간이 | ||||||||||||||||||
개소수 | 3,454 | 319 | 113 | 889 | 2,126 | 7 | |||||||||||||
지급액 | 8,525 | 7,658 | 91 | 465 | 299 | 12 | |||||||||||||
구분 | 계 | 병원급 이상 | 의원급 | ||||||||||||||||
소계 | 종합 병원 |
병원 | 요양 병원 |
치과 병원 |
한방 병원 |
정신 병원 |
소계 | 의원 | 치과 의원 |
한의원 | 조산원 | ||||||||
개소수 | 319 | 46 | 20 | 15 | 7 | - | 3 | 1 | 273 | 225 | 24 | 24 | - | ||||||
지급액 | 7,658 | 6,825 | 5,930 | 303 | 499 | - | 93 | - | 833 | 682 | 120 | 31 | - |
□ 또한,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(본부장: 권덕철 장관)는 손실보상심의위원회* 심의·의결(1.24.)을 거쳐 ’22년도 손실보상 기준을 확정하였다.
* 「감염병예방법」 제70조에 따른 손실보상 사항을 심의·의결하기 위해 민관 공동위원장, 이해관계자, 법률·손해사정·의학 전문가 등 포함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
○ 이번 개정은 회계연도 변경과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기준 변경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.
- ’21.11월 이후 신규 지정된 치료의료기관의 병상단가·1일당 진료비는 ’21년도 진료비를 기준으로 산정하여 보상한다.
- ’21년도 진료비 산출이 안정화되기 전까지 ’21년도 상반기 자료로 산출하여 보상하되 ’22년 7월 이후 소급하여 정산할 예정이다.
○ ’22년도 폐쇄·업무정지 의료기관의 1일당 진료비도 ’21년도 진료비를 기준으로 산정하여 보상한다.
- 신속한 보상을 위해 ‘22년도 상반기에는 ’21년도 상반기 진료비 등을 기준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.
< ’22년도 병상단가 및 1일당 진료비 산정방식 >
’22년도 병상단가 | 병상단가 = (입원 기대진료비*) ÷ (’21년 평균 신고병상수) ÷ (’21년 운영일수) * (입원 기대진료비) = (급여 진료비1)) + (비급여 진료비2)) 1) (급여진료비) = {(’21년 입원진료비) + (’21년 외래진료비 × 입원 관련 외래진료 비율)} 2) (비급여진료비) = (급여진료비 ÷ ’20년 종별 건강보험 보장률) - (급여진료비) |
’22년도 1일당 진료비 |
1일당 진료비 = (기대진료비*) ÷ (’21년 운영일수) * (기대진료비) = (급여 진료비1)) + (비급여 진료비2)) 1) (급여진료비) = (’21년 진료비) × (1+’22년 종별 환산지수 증가율) 2) (비급여진료비) = (급여진료비 ÷ ’20년 종별 건강보험 보장률) - (급여진료비) |
○ ’22년도 폐쇄·출입금지·소독 등에 따른 약국, 일반영업장의 1일당 영업손실액은 ’21년도 영업손실액*을 기준으로 산정하여 보상한다.
* ’22년도 1일당 영업손실액 = (’21년도 영업이익+고정비용) ÷ 영업일수
- 청구인이 ’22년 상반기에 요구할 경우 신속한 보상을 위해 ’20년도 영업손실액*을 기준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.
* ’21년도 영업손실액은 국세청 종합소득세 신고시점(’22.5월) 이후 파악 가능 고려
□ 전체 허가병상을 소개한 거점전담병원의 회복기간은 운영 종료 후 최대 1년까지 연장하여 필수진료과 의료진 확보, 신규환자 치료 및 진료정상화 등을 지원한다.
<회복기간 산정기준> * 병상소개율 : (확보병상 + 소개병상) / 신고병상(허가병상) ** ’21.12.31.기준 전체 소개한 거점전담병원 14개소 |
※ (참고1) 코로나 19 손실보상 신청 문의
대상기관 | 문의처 |
코로나 19 환자 치료의료기관 |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원평가실 손실보상부 (033-739-1791∼5) |
폐쇄·업무정지·소독 명령을 이행한 기관 | 소재지 관할 시군구청 또는 보건소 |
※ (참고2) 코로나 19 손실보상 대상 및 보상항목
○ (치료의료기관) 감염병전담병원 등 코로나19 환자 치료의료기관, 선별진료소 운영병원, 생활치료센터 협력병원
* ➊ 정부 등의 지시로 병상을 비워 환자치료에 사용한 병상 및 사용하지 못한 병상에서 발생한 손실(~’21.12.31) ➋ 코로나19 환자로 인한 일반 환자의 감소에 따른 손실 ➌ 코로나19 환자로 인한 일반환자 감소 손실(∼’21.9.30.) ➍ 선별진료소 운영, 생활치료센터 진료 지원으로 인한 진료비 손실(∼’21.9.30.), ➎ 감염병·거점전담병원 회복기간 손실(지정해제 후 최대 180일, ~’21.9.30.) ➏ 감염병·거점전담병원 의료부대사업 손실 ➐ 감염병·거점전담병원 건강검진사업 손실 ➑ 치료의료기관 직접비용 손실
○ (폐쇄·소독기관) 정부·지자체의 폐쇄·업무정지 조치를 받거나, 환자 발생·경유 또는 그 사실이 공개된 의료기관 및 약국, 정부·지자체가 폐쇄·출입금지·소독 등 조치한 일반영업장 및 사회복지시설
* ➊ 소독비용, ➋ 폐쇄·업무정지·소독 명령 이행기간 동안 진료(영업)를 하지 못한 손실, ➌ (의료기관, 약국의 경우) 회복기간(3∼7일), 정보공개기간(7일), 의사·약사의 격리로 인한 휴업기간 동안 진료(영업) 손실
2. 2021년 12월 유행시기와 오늘 방역지표 비교
□ 오늘 신규 확진자는 13,012명으로 역대 최대 수치이다.
○ 오미크론에 의해 2주 전부터 유행이 증가하고 있으며, 오미크론이 지배종이 되는 상당한 기간 동안 확진자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본다.
○ 질병관리청의 오미크론 초기 데이터 분석 결과, 오미크론의 중증도는 델타에 비해 5분의 1수준(델타 0.8%, 오미크론 0.16%)이다.
□ 따라서 12월 델타 유행 때와는 유행의 양상이 다르며, 방역 관리의 목표도 다르다.
○ 오미크론 전환기의 방역 목표는 전환 기간의 유행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.
○ ① 중증환자와 사망 피해 최소화, ②의료체계의 과부하와 붕괴 방지 및 ③ 사회경제적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.
□ 7주 전인 작년 12월 8일(확진자 최초 7천명대 발생) 유행 양상과 비교하면,
○ 사망자의 90%를 점유하는 60세 이상 확진자는 12월 8일 34.1%, 2,448명이었으나, 오늘은 7.7%, 975명이다. 확진자 수는 2배 정도 많으나, 60세 이상 확진자는 당시의 절반 이하이다.
- 오미크론의 낮은 중증화율과 고령층의 3차 접종률이 높아진 결과가 복합해서 나타난 결과이다.
※ 60세 이상 고령층의 접종률 : 22.1% (’21.12.8.) →85.1% (’22.1.26)
○ 60세 이상 확진자 감소는 위중증 감소로 이어진다.
- 12월 8일 위중증 환자는 840명이었으나, 오늘은 385명 이다. 당시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.
○ 위중증 환자의 감소는 의료체계 여력으로 연결된다.
- 현재 중환자 전담병상 가동률은 17.8%이다. 안정적인 여력을 확보하고 있다. 12월 8일 당시에는 78.7%의 가동률이었으며, 한계 상황에 도달하는 위험을 겪었다.
○ 병상 확보량도 그 당시보다 2배 가량 확충된 상황이기에 의료체계 여력이 충분한 상태이다.
○ 중등도 환자를 위한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현재 36.2%이다. 1만 1천개 이상의 여유 병상이 남아 있다. 12월 8일 당시는 76.7%의 가동률을 보이며, 3,500개 정도의 병상만 남아있는 상태였다.
○ 입원 대기 환자수도 작년 12월 8일의 경우 685명, 하루 사망자는 60명대 수준이었으나, 현재 입원대기자는 없으며, 사망자는 20~3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.
(단위 : 명, %, 개) | ’21.12.8.(수) | ’21.12.15.(수) | ’21.12.29.(수) | ’22.1.26.(수) |
확진자 수 | 7,173 | 7,850 | 5,408 | 13,012 |
60세 이상 확진자 (비중) |
2,448 (34.1%) |
2,385 (30.4%) |
1,171 (21.7%) |
975 (7.7%) |
신규 입원환자 수 | 860 | 831 | 607 | 902 |
위중증 환자 | 840 | 964 | 1,151 | 385 |
중증 병상가동률 (확보 병상수) |
78.7% (1,255) |
81.4% (1,298) |
74.9% (1,384) |
17.8% (2,289) |
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 (확보병상수) |
71.0% (11,947) |
75.7% (12,538) |
54.0 (13,915) |
36.2 (17,444) |
입원대기자 | 685 | 728명 | 0 | 0 |
사망자 | 63 | 70 | 36 | 32 |
비 고 | 확진자 최초 7천 명대 |
확진자 역대 최대 |
위중증환자 최대 |
(오늘 현재) |
□ 확진자 수의 증가는 분명히 주의할 지점이지만,
○ 현재 우리나라대응체계는 오미크론으로 인한 피해(위중증, 사망)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.
○ 정부는 폭증한 확진자 수만 보고 불안해 하는 국민들을 위해 신뢰있는 국내외 통계분석자료를 충분히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.
□ 오미크론 유행에 대응한 방역‧의료체계 전환도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다.
○ 중증화, 사망 위험이 가장 높은 60세 이상 고령층의 3차 접종을 신속하게 진행하였고, 일반 국민들의 3차 접종에 주력하고 있다.
※ 60세 이상 고령층의 접종률 : 22.1% (’21.12.8.) →85.1% (’22.1.26) .
○ 무증상 경증 환자의 급증에 대비하여 재택치료를 확대하고, 먹는 치료제를 도입하여 처방대상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.
※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대상 재택치료 허용 ('22.1.19~), 코로나 19 먹는 치료제 공급 병원 등으로 확대하고, 투약 연령도 60세 이상으로 확대('22.1.22~)
○ 확진자의 치료 격리 기간을 7일로 단축하였고, 확진자를 접촉한 접촉자 격리도 미접종자는 7일로 단축하는 등 사회기능 유지를 위한 방역조치 조정도 시행하였다.
< 확진자, 접촉자 격리기준 >
구분 | 예방접종 접종완료자 (①3차 접종자 또는 ②2차 접종 후 14일부터 90일 이내자) |
미접종 및 그 외 예방접종자 | |
확진자 | 무증상 | 7일 격리 * 해당기간 동안 무증상 유지 |
10일 격리 |
유증상 | 7일 격리 * 발열없고, 임상증상 호전 |
10일 격리 | |
밀접접촉자 | 수동감시 (6~7일차 PCR 검사) |
7일 격리 (6~7일차 PCR 검사) |
※ (공통) 7일 격리해제 시 3일간 주의 : KF94(또는 이와 동급) 마스크 상시 착용, 감염위험도 높은 시설(다중이용시설, 감염취약시설 등) 이용(방문) 제한 및 사적 모임 자제
○ 중환자병상, 중등증병상 등은 12월 대비 2배 가량 확충하였고, 권역별 통합 배정과 운영 효율화 과정도 사전에 도입하여 정착시켜 두었다.
○ 고위험군 중심으로 동네병의원까지 참여하는 진단검사 체계와 역학조사 체계 전환을 4개 지역(광주,전남,평택,안성)에서 오늘부터 시작하며, 설 연휴 이후 2월 3일부터 전국으로 확대한다.
○ 신속항원검사를 원하는 국민들이 조금더 빨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별진료소에서 자가검사키트를 제공하는 것은 1월 29일부터 먼저 실시한다.
○ 현재 PCR 검사 역량은 하루 80만 건 내외이며, 아직은 매일 40~50만 건 정도 실시하고 있어 30만건의 여력은 있다.
- 진단검사체계 전환은 저위험군의 진단과 유행 차단에 불리하고 국민의 불편이 커질 수 있으나, 확진자 급증에 따른 고위험군 우선 보호를 위해서는 불가피한 전환이다.
3. 1월 26일 현재 코로나19 치료병상 확보 현황 등
□ 1월 26일(수) 0시 기준, 코로나19 치료 병상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, 병상 확충을 지속 추진 중에 있다.
< 1.26. 0시기준 중등도별 병상 현황 > (단위 : 개, %)
구분 (개, %) |
위중증(危重症) | 준중증(準-重症) | 중등증(中等症)병상 | 무증상·경증(輕症) | |||||||||
중환자 전담치료병상 | 준-중환자병상 | 감염병 전담병원 | 생활치료센터 | ||||||||||
보유 (증감) |
사용 (가동률) |
가용 | 보유 (증감) |
사용 (가동률) |
가용 | 보유 (증감) |
사용 (가동률) |
가용 | 보유 (증감) |
사용 (가동률) |
가용 | ||
전국 | 2,289 | 407 | 1,882 | 2,574 | 903 | 1,671 | 17,444 | 6,315 | 11,129 | 20,728 | 12,461 | 8,267 | |
(+7) | (17.8) | (+31) | (+3) | (35.1) | (+10) | (+0) | (36.2) | (-183) | (-274) | (60.1) | (-637) | ||
수도권 | 1,637 | 288 | 1,349 | 1,905 | 694 | 1,211 | 8,853 | 2,478 | 6,375 | 13,610 | 9,004 | 4,606 | |
(+3) | (17.6) | (+23) | (+3) | (36.4) | (+5) | (+0) | (28.0) | (-60) | (-274) | (66.2) | (-420) | ||
중수본 | 3,119 | 1,988 | 1,131 | ||||||||||
서울 | 555 | 131 | 424 | 428 | 110 | 318 | 3,858 | 815 | 3,043 | 6,022 | 3,736 | 2,286 | |
경기 | 803 | 134 | 669 | 1,132 | 484 | 648 | 3,398 | 1,355 | 2,043 | 2,987 | 2,302 | 685 | |
인천 | 279 | 23 | 256 | 345 | 100 | 245 | 1,597 | 308 | 1,289 | 1,482 | 978 | 504 | |
비수도권 | 652 | 119 | 533 | 669 | 209 | 460 | 8,591 | 3,837 | 4,754 | 7,118 | 3,457 | 3,661 | |
(+4) | (18.3) | (+8) | (+0) | (31.2) | (+5) | (+0) | (44.7) | (-123) | (+0) | (48.6) | (-217) | ||
중수본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,114 | 690 | 424 | |
강원 | 59 | 12 | 47 | 36 | 1 | 35 | 551 | 220 | 331 | 499 | 210 | 289 | |
충청권 | 136 | 33 | 103 | 149 | 53 | 96 | 1,954 | 1,003 | 951 | 617 | 326 | 291 | |
호남권 | 145 | 36 | 109 | 135 | 65 | 70 | 2,270 | 1,155 | 1,115 | 754 | 462 | 292 | |
경북권 | 121 | 17 | 104 | 94 | 43 | 51 | 1,877 | 965 | 912 | 1,160 | 506 | 654 | |
경남권 | 169 | 21 | 148 | 243 | 47 | 196 | 1,632 | 464 | 1,168 | 2,674 | 1,178 | 1,496 | |
제주 | 22 | 0 | 22 | 12 | 0 | 12 | 307 | 30 | 277 | 300 | 85 | 215 |
※ 증감은 전일 대비 변동량
○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총 2,289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, 가동률은 전국 17.8%, 수도권 17.6%, 비수도권 18.3%이다. 사용 가능한 병상은 1,882개(수도권 1,349병상, 비수도권 533병상)이다.
○ 준-중환자병상은 총 2,574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, 가동률은 전국 35.1%, 수도권 36.4%, 비수도권 31.2%이다. 사용 가능한 병상은 1,671개(수도권 1,211병상, 비수도권 460병상)이다.
○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17,444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, 가동률은 전국 36.2%, 수도권 28.0%, 비수도권 44.7%이다. 사용 가능한 병상은 11,129개(수도권 6,375병상, 비수도권 4,754병상)이다.
○ 생활치료센터는 총 20,728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, 가동률은 전국 60.1%, 수도권 66.2%, 비수도권 48.6%이다. 사용 가능한 병상은 8,267개(수도권 4,606병상, 비수도권 3,661병상)이다.
□ 입원대기도 병상여력이 회복되면서 2021년 12월 29일 0명으로 해소된 이후 지속적으로 0명이다.
□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2021년 11월 1일과 비교하면, 총 10,713개의 병상이 확충되었으며, 세부적으로는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이 1,206개, 준-중환자 병상 2,119개, 감염병전담병원 7,388개 이다.
- 중증도별 전국기준 모든 병상의 가동률도 11월 1일보다 완화되었으나, 감염병 전담병원의 경우 비수도권의 가동률은 높다.
< ’21년 11월 1일 이후 병상 확충 현황 > (단위 : 개)
구분 | ’21.11.1. (0시) | ⇨ | ’22.1.26. (0시) | ||||||
보유 | 사용 | (가동률) | 보유 | 사용 | (가동률) | ||||
중증 병상 | 1,083 | 489 | 45.2% | 2,289 (+1,206) |
407 | 17.8 % | |||
수도권 | 667 | 390 | 58.5% | 1,637 | 288 | 17.6 % | |||
비수도권 | 416 | 99 | 23.8% | 652 | 119 | 18.3 % | |||
준중증 병상 | 455 | 182 | 60.0% | 2,574 (+2,119) |
903 | 35.1 % | |||
수도권 | 276 | 204 | 73.9% | 1,905 | 694 | 36.4 % | |||
비수도권 | 179 | 69 | 38.5% | 669 | 209 | 31.2 % | |||
감염병 전담병원 | 10,056 | 5,172 | 51.4% | 17,444 (+7,388) |
6,315 | 36.2 % | |||
수도권 | 4,655 | 3,265 | 70.1% | 8,853 | 2,478 | 28.0 % | |||
비수도권 | 5,401 | 1,907 | 35.3% | 8,591 | 3,837 | 44.7 % |
※(참고) 주간(토∼일) 주차별 병상가동률 (단위 : %)
구분 | 12월4주 (12.19.~12.25) |
12월5주 (12.26.~1.1.) |
1월1주 (1.2.~1.8.) |
1월2주 (1.9.~1.15.) |
1월3주 (1.16.~1.22.) |
증감 | |
(중증병상)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(%) |
79.3 | 71.9 | 56.9 | 41.5 | 25.9 | ▼15.6 | |
수도권 | 85.5 | 75.2 | 58.4 | 43.4 | 26.8 | ▼16.7 | |
비수도권 | 68.8 | 66.1 | 53.7 | 37.5 | 24.8 | ▼12.6 | |
(준중증 병상) 준-중환자 병상가동률(%) |
71.5 | 59.4 | 45.4 | 40.4 | 33.5 | ▼6.9 | |
수도권 | 80.0 | 62.1 | 47.4 | 41.1 | 34.1 | ▼7.0 | |
비수도권 | 57.7 | 54.8 | 41.4 | 38.9 | 31.9 | ▼7.0 | |
(중등증 병상)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(%) |
68.5 | 54.5 | 40.0 | 31.2 | 30.0 | ▼1.2 | |
수도권 | 73.2 | 56.4 | 39.3 | 27.7 | 23.7 | ▼4.0 | |
비수도권 | 64.1 | 52.8 | 40.8 | 34.9 | 36.8 | ▲1.9 |
□ 1주간(1.20.~1.26.) 국내 발생 총 확진자는 55,164명, 국내 발생 일평균 확진자는 7,880.6명으로, 1주전(4,077.1)에 비해 3,803.5명(93.3%) 증가하였다.
* (수도권) 일평균 5,085.9명, 1주전(2,712.4명)에 비해 2,373.5명(87.5%) 증가 (비수도권) 일평균 2,794.7명, 1주전(1,364.7명)에 비해 1,430명(104.8%) 증가
<1.20~1.26.> | 전국 | 수도권 | 충청권 | 호남권 | 경북권 | 경남권 | 강원 | 제주 | |
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(명) | 7,880.6 | 5,085.9 | 598.9 | 685.6 | 716.7 | 654.9 | 116.6 | 22.1 | |
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(%) | 15.3 | 19.5 | 10.8 | 13.5 | 14.3 | 8.4 | 7.6 | 3.3 |
※(참고) 1주전 권역별 방역관리 상황<1.13~1.19.>
<1.13~1.19.> | 전국 | 수도권 | 충청권 | 호남권 | 경북권 | 경남권 | 강원 | 제주 | |
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(명) | 4,077.1 | 2,712.4 | 266.9 | 465.9 | 246.3 | 282.1 | 96.9 | 6.7 | |
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(%) | 7.9 | 10.4 | 4.8 | 9.2 | 4.9 | 3.6 | 6.3 | 1.0 |
□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(1.26.0시 기준)는 3,218명으로, 수도권 2,171명(수도권 배정의 62.3%), 비수도권 1,047명(비수도권 배정의 52.7%)이다.
<시·도별 재택치료 신규 배정 현황> (단위 : 명)
계 | 수도권 | 비수도권 | |||||||||||||||||
소계 | 서울 | 경기 | 인천 | 소계 | 부산 | 대구 | 광주 | 대전 | 울산 | 세종 | 강원 | 충북 | 충남 | 전북 | 전남 | 경북 | 경남 | 제주 | |
3,218 | 2,171 | 661 | 1,353 | 157 | 1,047 | 86 | 102 | 250 | 63 | 25 | 14 | 78 | 11 | 61 | 46 | 90 | 103 | 110 | 8 |
□ 1월 26일(수) 0시 기준으로,
○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2차까지 완료한 국민은 85.5%이며, 12세 이상 93.2%, 18세 이상 95.4%, 60세 이상 95.3%이다.
○ 3차 예방접종률은 신규 접종자 약 24만명을 포함하여 전체 국민의 50.3%이고, 18세 이상 58.2%, 60세 이상 85.1%이다.
※ 1차 접종률은 전 국민 기준 86.9%, 18세 이상 성인 기준 96.6%
4. 이동량 분석 결과
□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(본부장: 장관 권덕철)는 통계청이 제공한 휴대전화 이동량 자료*를 기초로 이동량 변동을 분석하였다.
* S이동통신사 이용자가 실거주하는 시군구 외에 다른 시군구의 행정동을 방문하여 30분 이상 체류한 경우를 이동 건수로 집계
○ 단계적 일상회복* 12주차(1.17.~1.23.) 전국 이동량은 2억 2,950만 건으로, 전 주(1.10.~1.16.) 이동량(2억 2,762만 건) 대비 0.8%(188만건) 증가하였다.
* 단계적 일상회복(11.1.~), 새로운 거리두기 수도권 4단계(7.12.~) / 비수도권 새로운 거리두기 적용(7.1.~)
- 수도권은 1억 2,191만건으로 전 주(1.10.~1.16.) 1억 2,101만 건 대비 0.7%(90만 건) 증가하였다.
- 비수도권은1억 759만 건으로 전 주(1.10.~1.16.) 1억 661만 건 대비 0.9%(98만 건) 증가,하였다.
○ 코로나19 발생 이전 2019년도 동기(1.21.~1.27.) 전국 이동량은 2억 4,559만 건으로, 현재 이동량은 2019년 동기에 비해 6.5%(1,609만 건) 감소한 수치이다.
< 주간(월요일~일요일) 이동량 추이 분석 > (단위 : 만 건)
구분 | 0주차 (‘20.11.9~11.15) |
… | 7주차 (12.13~12.19) |
8주차 (12.20~12.26) |
9주차 (12.27~1.2.) |
10주차 (1.3.~1.9.) |
11주차 (1.10.~1.16.) |
12주차 (1.17~1.23) |
|
거리 두기 단계 |
거리두기 이전 | 단계적 일상회복 (11.1~) | |||||||
주간 이동량 | 전국 | 24,751 | - | 21,702 | 22,716 | 23,266 | 22,567 | 22,762 | 22,950 |
직전 주 대비 증감 | - | △3.9% | 4.7% | 2.4 | △3.0% | 0.9% | 0.8% | ||
수도권 | 13,093 | - | 11,387 | 12,187 | 12,015 | 12,034 | 12,101 | 12,191 | |
직전 주 대비 증감 | - | △3.7% | 7.0% | △1.5% | 0.2% | 0.6% | 0.7% | ||
비수도권 | 11,658 | - | 10,315 | 10,529 | 11,251 | 10,533 | 10,661 | 10,759 | |
직전 주 대비 증감 | - | △4.1% | 2.1% | 6.9% | △6.4% | 1.2% | 0.9% |